본문 바로가기

매일 글쓰기

(110)
나와 계속 함께 하자 처음에는 칭찬받고 싶어서 시작한 컴퓨터가 이제는 내 일이 되었고 내 꿈이 되었다. 내가 가진 것 중에 가장 잘하고 싶고 뽐내고 싶은 게 컴퓨터로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다. 컴퓨터로 무언가를 만든다는 건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동작시키고 그 동작이 외부 세상에 영향을 주게 한다는 것이다. 어릴 때는 칭찬 때문에 시작했지만 왜 지금의 나는 컴퓨터로 작업하는 걸 원할까? 곰곰이 돌이켜 보면 코딩을 하거나 프로그램을 가지고 필요한 작업을 할 때 자주 몰입을 하게 된다. 이 몰입은 즐겁다기보다는 시간을 흐른 걸 깨닫지 못한 상황이다. 몰두하여 시간을 보내면 내가 뭔가를 했다는 뿌듯함을 준다. 다른 것보다 컴퓨터로 작업할 때 이 기분을 자주 느끼기 때문에 컴퓨터에 더 끌린다. 그럼 컴퓨터는 나에게 어..
잊지 않을꺼야 초코틴틴 "초코틴틴". 내가 너무 좋아한 과자다. 아니다. 난 초코 틴틴을 사랑했다. 중학교 때 우리는 만났다. 다이제스트와는 다른 얇은 두께, 모든 면이 아닌 아래면에만 발라진 초코, 한입에 꽉 차게 들어가는 길이 이 모든 조건이 내가 초코 틴틴을 놓지 못하게 만들었다. 첫 만남은 부끄러워 일주일에 2~3번 만났지만, 얼마 안 가 우리는 매일매일 만나게 되었다. 우린 정말 오랫동안 만났다. 거의 15년 이상 만났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군대에 있을 때다. 신병교육을 받을 때는 초코틴틴을 만날 수 없었다. 어쩔 수 없이 초코파이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자대에 배치받고 난 후 첫 휴가 때부터 다시 만났다. 그리고 한 달에 한 번씩 부모님이 한 박스씩 부대로 소포를 보냈다. 고참들과 나눠먹다가 이후 다들 질려..
하루키가 나에게 주고 간 것 대학 휴학하고 아르바이트하는 시절에 내가 좋아하던 형의 책상에 "상실의 시대" 책이 있었다. 동경하던 형이라 형이 하는 모든 행동이 모두 나에겐 멋져 보였다. 어느 날 형 방 한쪽 책장에 하루키 책들이 차곡히 쌓여 있는 걸 보고 나도 따라 해보고 싶었다. 그 시절엔 활자로 된 책은 게임잡지 말고는 사본 적이 없었다. "상실의 시대"를 시작으로 "태엽 감는 새" 4편을 보았다. 형을 따라 읽었던 책이였는데 나중에는 하루키 소설에 빠져 하루키를 선망의 대상으로 보게 되었다. 다음으로 본 "하루키 일상의 여백"이라는 에세이에서 하루키의 일상은 너무 멋있는 중년의 모습이었다. 유명한 작가이면도 매일 하는 달리기, 글쓰기 하며 자신을 관리하는 모습은 그 당시 알바를 하며 생계를 꾸리던 나에겐 꿈같은 일상이었다. ..
세번째 태안반도 아버지 칠순 기념으로 태안 여행을 왔다. 내게 기억되는 태안은 기름 유출사고로 전국에서 기름을 닦던것이다. 회사에서 차례로 봉사활동을 왔었다. 수백명의 사람이 나란히 앉아 부직포로 돌 하나하나를 닦던 그때가 기억이 난다. 우리의 서해가 오염되는 걸 누구도 무시하지 않았었다. 마음이 아팠지만 모두 함께 돌 하나씩을 깨끗이 하며 바다가 원래대로 돌아오길 기도 했었다. 두번째 태안. 이 때는 회사에서 1박2일 워크샵을 왔었다. 이때도 기름 유출과 관련이 있었다. 경제사정이 많이 안 좋아진 태안에 힘을 불어넣기 위해 태안으로 온 것이였다. 회사에서도 태안으로 가는 걸 적극 추천했었다. 워크샵 때 태안은 많이 원복되어 있었다. 우리가 했던 봉사가 도움이 됐다는 생각에 기쁘기도 하고 감사하기도 했다. 세번째 태안은..
씽큐베이션 1기, 2기를 마치며 이 모든 인연은 2018년부터 신영준 박사님과 고영성 작가님의 팟캐스트에서 시작했다. 어떻게 더 나은 인생을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할 때 이들은 나에게 성장이라는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그들이 얘기한 자기 삶의 적극적인 태도를 위해 나를 앞으로 던졌다. 2018년 7월 빡독 스피치, 2019년 1월 완벽한 공부법 100쇄 기념 스피치, 2월 66 챌린지, 4월 씽큐베이션 1기, 7월 씽큐베이션 2기까지 달려왔다. 낮은 문해력으로 독서를 통한 학습효율이 떨어져 남들보다는 천천히 올라가고 있다. 가끔은 조급한 마음이 들었지만 무리하게 도전하여 식어버리는 것보다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기에 진득하게 달려왔다. 어릴 적 학교에서 가훈을 알아오라는 숙제 때 아버지가 말한 "성실함"이 낙인처럼 뇌리에 ..
무기력에 빠지지 말자 신영준 박사님, 고영성 작가님, 체인지 그라운드와의 인연은 2017년 말부터 지금까지 계속된다. 우리는 팟캐스트와 유튜브의 시청자로 만났다. 육아휴직을 전 나의 미래, 가족의 미래를 고심하던 차에 두 사람의 팟캐스트는 나에게 문제가 있다는 걸 알게 해 주었다. 그 후 자기 계발로 성장을 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을 하고 있다. 2018년 육아휴직기간에는 온전히 나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기간이었다. 모든 도전이 만족스럽게 성공하진 않았다. 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객관적으로 성장한 나를 알게 되어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이게 시작이 되어 계속 노력하는 시도를 수없이 하게 되었다. 육아휴직이 끝나고 복직을 하면서 새로운 어려움이 닥쳐왔다. 회사일과 자기계발, 집안일을 모두 병행해야 하는 게 바..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 다음 달에 처남이 결혼을 할 예정으로 곧 독립을 하고 가정을 꾸리게 됐다. 그리고 추석이 되서 다른 친척들의 소식을 들으면서 다시금 나와 가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게 가족인가? 나는 가족을 위해 헌신해야 하는가? 누군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당연히 가장으로써 가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정말 그게 옳은 것일까? 내가 살아오면서 부모님, 친척들, 친구 가족들을 보면서 깨닫게 된 것은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게 능사가 아니라는 점이다. 가족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바로 내 자신이다. 내 자신이 온전해야 가족을 살필 수 있다. 가족위해 60 평생을 헌신하고 60부터 자신을 찾아가려는 어르신들이 있다. 하지만 어떻게 자신을 찾아야 하는지 모른채 지인들과 가끔씩 술 마시..
팀에 좋은 코딩 문화를 퍼뜨리기 남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래머가 되는 게 나의 목표 중에 하나다. 알게 된 지식을 주위에 공유하면 내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다라는 뿌듯함이 생기며 그 힘이 나를 계속 움직이게 한다. 3~4년 전에는 단순한 관심이 있는 팀원들을 모아서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을 세~네차례 시도했었다. 팀원들에게 바로 실용적이지 못해서 인지 일회성 스터디로 흐지부지되어 지속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번에 팀원들과 같이 성장하는 프로젝트를 다시 시도한다. 몇 년전부터 팽배한 무기력은 부서를 더 좀 먹는다. 파트별로 벽을 쳐서 소통은 더 단절되고 누구도 더 나은 발전을 위해 도전하지 않는다. 안주하려고만 한다. 내가 부서 전체를 바꿀수 없지만 변화의 시작은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예전에 시도했던 스터디 방식은 실용성이 적어 효과..